현대 엘란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엘란트라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차로, 1990년 10월에 스텔라의 후속 모델로 처음 출시되었다. 1990년부터 1995년까지 판매된 1세대 모델은 1.5L SOHC, 1.6L DOHC 엔진을 탑재했으며, 1993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엘란트라로 판매되었다. 뉴 엘란트라는 1.8L DOHC 엔진을 추가하고, 운전석 에어백과 ABS를 옵션으로 제공했다. 엘란트라는 대한민국에서 최다 판매 차량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아반떼의 수출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2. 1세대 (J1, 1990년~1995년)
2. 1. 엘란트라 (1990년~1993년)
1986년에 프로젝트명 J로 개발에 들어가 4,100억 원의 개발비를 들여, 4년 후인 1990년 10월 23일 생산공장인 제3공장 준공과 동시에 생산이 시작되어 10월 26일에 수출 전략형 승용차이자 스텔라의 대체 차종으로 출시된 엘란트라는 소형급과 중형급 사이의 틈새를 메워 준중형급을 본격적으로 형성하였다.[2] 조르제토 쥬지아로의 그늘에서 벗어나 현대자동차가 자체적으로 디자인하여 만든 독자 개발 차종으로,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 차량을 출시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은 계기가 되었다. 개발 무렵부터 차종 간 플랫폼 공유화가 시작되었고 전륜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을, 후륜 서스펜션은 트레일링 암[2]을 적용하였다.
출시 초기에는 인기를 끌지 못하였으나, 차츰 진가를 인정받아 1992년과 1993년에 대한민국 최다 판매 차량으로 인기를 끌었다. 엔진은 미쓰비시 오리온 1.5L SOHC 엔진과 미쓰비시 시리우스 1.6L DOHC 엔진으로 2가지가 있었다. 라인업은 1.5L GLi, 1.5L GLSi, 1.6L DOHC 등 3가지였으나, 1991년 9월에 1.6L GLi가 추가되었다. 기본적으로 휠 커버가 있는 스틸 휠이 적용되었고, 1.6L DOHC에서는 알루미늄 휠과 디지털 계기판[3]이 적용되었다. 1.5L GLi에는 1단 전자식 카세트 데크 오디오가 적용되었고, 1.5L GLSi에는 7밴드 그래픽 이퀄라이저 오디오[4]가 적용되었다. 1991년 TV 광고에서는 엘란트라가 아우토반에서 포르쉐 911을 따라 잡는 장면이 있었는데, 이것이 과장 광고라는 의혹이 생겨 한때 광고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구분 | 1.5L SOHC 가솔린 | 1.6L DOHC 가솔린 |
---|---|---|
엘란트라 | GLi GLSi | GLi DOHC |
;제원
구분 | 엘란트라 1.5L 오리온 SOHC | 엘란트라 1.6L 시리우스 DOHC |
---|---|---|
전장 (mm) | 4,375 | |
전폭 (mm) | 1,675 | |
전고 (mm) | 1,395 | |
축거 (mm) | 2,500 | |
윤거 (전, mm) | 1,430 | |
윤거 (후, mm) | 1,430 | |
승차 정원 | 5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3링크 트레일링 암 | |
구동 형식 | 전륜구동 | |
엔진 형식 | G4DJ | G4CR |
연료 | 가솔린 | |
배기량 (cc) | 1,468 | 1,596 |
최고 출력 (ps/rpm) | 90/5,500 | 126/6,000 |
최고 속도 (km/h) | 164 | 180 |
최대 토크 (kg*m/rpm) | 13.5/3,000 | 15.3/5,000 |
연료 탱크 용량 (L) | 52 | |
공차 중량 (kg) | 1,064(수동 5단)/ 1,082(자동 4단) | 1,101(수동 5단)/ 1,118(자동 4단) |
연비 (km/L) | 15.36(수동 5단)/ 13.48(자동 4단) | 13.49(수동 5단)/ 11.79(자동 4단) |
2. 2. 뉴 엘란트라 (1993년~1995년)


뉴 엘란트라는 1993년 4월 6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출시되었다.[5] 기존 126마력 1.6L DOHC 엔진은 135마력 1.8L DOHC 엔진으로 대체되었고, 1.5L SOHC, 1.5L DOHC 엔진을 포함하여 3가지 엔진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대한민국 준중형차 최초로 운전석 에어백과 ABS(옵션)를 장착했다.[5]
뉴 엘란트라는 오스트레일리아 랠리에 출전하여 1.6L 이하 비개조 부문에서 1991년, 1995년, 1996년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 차량은 현재 울산 공장 홍보관에 전시되고 있다.
1995년 3월 16일에 후속 차종인 아반떼가 출시되면서, 1.5L DOHC 엔진과 1.8L DOHC 엔진은 단종되었다. 이후 1.5L SOHC 엔진이 장착된 1.5L GLS 트림만 아반떼와 함께 병행 생산 및 판매되다가 같은 해 12월에 단종되었다. 이는 엘란트라와 동급인 신형 차종 아반떼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됨에 따라 발생한 혼란을 정리하기 위함이었다.[5]
단종 후 엘란트라는 아반떼와 i30(수출명: 엘란트라 투어링, 엘란트라 GT)의 수출명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아반떼 2.0T 모델인 아반떼 N 또한 수출명은 엘란트라 N이다.
;제원
구분 | 뉴 엘란트라 1.5L 오리온 SOHC | 뉴 엘란트라 1.5L 시리우스 DOHC | 뉴 엘란트라 1.8L 시리우스 DOHC |
---|---|---|---|
전장 (mm) | 4,405 | ||
전폭 (mm) | 1,680 | ||
전고 (mm) | 1,390 | ||
축거 (mm) | 2,500 | ||
윤거 (전, mm) | 1,445 | ||
윤거 (후, mm) | 1,430 | ||
승차 정원 | 5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3링크 트레일링 암 | ||
구동 형식 | 전륜구동 | ||
엔진 형식 | G4DJ | G4CL | G4CN |
연료 | 가솔린 | ||
배기량 (cc) | 1,468 | 1,497 | 1,836 |
최고 출력 (ps/rpm) | 90/5,500 | 108/6,000 | 135/6,000 |
최고 속도 (km/h) | 164 | 180 | 195 |
최대 토크 (kg*m/rpm) | 13.5/3,000 | 14.6/4,500 | 17.5/4,500 |
연료 탱크 용량 (L) | 52 | ||
공차 중량 (kg) | 1,064(수동 5단)/ 1,082(자동 4단) | 1,166(수동 5단)/ 1,180(자동 4단) | 1,170(수동 5단)/ 1,187(자동 4단) |
연비 (km/L) | 15.4(수동 5단)/ 13.5(자동 4단) | 15.0(수동 5단)/ 12.5(자동 4단) | 13.3(수동 5단)/ 11.4(자동 4단) |
wikitable
[1]
서적
한국의 마케팅 사례
박영사
2000-02-28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3. 2세대~7세대
2세대 (J2) 3세대 (XD) 4세대 (HD) 5세대 (MD) 6세대 (AD) 7세대 (CN7)
참조
[2]
문서
3링크
[3]
문서
[4]
문서
[5]
뉴스
자동차 現代, 엘란트라 DOHC 斷種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3-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